본문 바로가기
세계는 지금

세계 주요 국가별 대통령 임기 및 연임 가능 여부

by 이글이글 2021. 11. 28.
반응형

우리나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 단임제이지만, 다른 주요국들의 대통령 임기와 정치제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계 각국은 그 나라의 역사적, 정치적 사건들을 겪으면서 현재의 정치제도가 정립되었으리라 생각되는데요. 우리나라와 비교하며 살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세계 주요 국가별 대통령 임기

국가명 대통령 임기 정치체제 기타
대한민국 5년 단일국가, 단원제,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단임제, 재선불가
미국 4년 연방제, 양원제,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재선가능, 3선 불가
러시아 6년 연방제, 양원제, 공화제, 이원집정부제 3연임 불가 (단, 2번 연임 후 건너뛰고 다시 2번 연임 가능)
중국 5년 (주석) 단일국가, 단원제, 공화제, 집단지도체제 전국인민대표대회(5년), 최대10년까지만 연임 가능하였으나, 2018년 3월 시진핑 개헌으로 종신집권이 가능해짐
일본 - 단일국가, 양원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내각총리대신(수상)
영국 입헌군주제, 민주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총리(하원에서 선출)
프랑스 5년 공화제, 민주제, 입헌제, 단일제, 이원집정부제  
독일 5년 연방제, 양원제, 공화제, 의원내각제 행정부 수반은 총리(연방 의회의 과반수를 얻은 자로 임기 4년)
오스트리아 5년 공화제, 민주제, 입헌제, 연방제, 양원제, 이원집정부제 연임가능, 3선 금지, 정부수반은 총리
이탈리아 7년 공화제, 양원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상원, 하원, 지역 대표가 합동으로 대통령 선출(비밀투표)
포르투칼 5년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사회주의 국가 1회 연임가능
스위스 1년 공화제, 민주제, 연방제, 임헌제, 내각책임제(스위스식 회의체) 대통령은 7명의 연방 평의회 각료들이 1년씩 번갈아가며 맡는다. 
그리스 5년 공화제, 민주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대통령은 의회에서 선출
아일랜드 7년 공화제, 민주제, 입헌제, 단일제, 양원제, 내각책임제 1번 중임가능
터키 5년 공화제, 단일국가, 대통령제 5년 중임제(최대 10년)
아르헨티나 4년 공화제, 연방제, 대통령중심제 아르헨티나 태상의 로마 카톨릭교회 신도만 선출 가능(국민투표)
브라질 4년 공화제, 연방제, 대통령제 4년 연임제
멕시코 6년 공화제, 연방제, 양원제, 대통령중심제 단임제(연임불가)
이란 4년 공화제, 대통령제, 단일국가, 신권정치(이슬람국가) 출마 전 수호자 평의회 허락 필요하며, 이슬람 법학자이자 성직자인 라흐바르 허락을 받고 정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단 한번 재선가능.)
남아프리카 공화국 5년 공화제, 단일국가 아프리카의 몇 안되는 다당제 존재하는 민주주의 국가 
대통령은 의회의 의결로 선출
이집트 4년 공화제, 단원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4년 중임제
대만  4년(총통) 단일국가, 단원제, 공화제, 이원집정부제 4년 중임제
인도네시아 5년 공화제, 단일국가, 대통령제 1회 연임가능
필리핀 6년 공화제, 단일국가, 대통령중심제 6년 단임제(연임불가)
반응형

이상으로 주요 국가들의 대통령 임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이 매우 적다는 것을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이슬람 국가들과 같이 신권 국가이거나 아직 정치체제가 불안정한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서는 일부만 조사하였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 계보 및 임기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계보 및 임기

현재 대한민국 19대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이고, 2022년 3월에는 대한민국 20대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대한민국 대통령은 모두 19명이 있었을까요? 꼭 그렇지는

meltingpot.tistory.com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 정권별 대한민국 경제성장률

 

역대 대통령 정권별 대한민국 경제성장률 비교

현재 대한민국의 경제규모는 약 세계 10위권으로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불과 100여 년 전 식민지 국가로써 엄청난 수탈을 겪었었고, 전 국토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6.25 전쟁까지 겪었던 것을 생각

meltingpo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