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원전 강국인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현황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수량은 몇 개인지, 그리고 각각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 발전 용량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원자력 발전소 현황
현재 대한민국의 원자력발전소 총수량은 총 25기이며,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는 이 중 총 21기가 운전되고 있습니다.
원전가동대수는 정비를 위한 정기검사나 이상으로 인한 정지 등 사유로 인해 그때그때 변할 수 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의 열린원전운영정보 사이트에서는 실시간으로 원전 가동대수, 발전 현황, 원전 가동 중단 사유 등에 대해 상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원자력 발전소 현황
각 지역 원자력본부별 원자력발전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5개 지역 원자력본부에 25기 원전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역별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월성 1호기와 고리 1호기는 영구정지되었으며, 현재 신한울 2호기(울진), 신고리 5, 6호기(울산 울주군)는 건설 중, 신한울 3, 4호기는 계획 중에 있습니다.
지역 | 원자력 발전소 현황 | 원전수 | 특기사항 |
울진(한울원자력본부) | 한울 1, 2, 3, 4, 5, 6호기, 신한울 1호기 | 7 | 신한울 2호기 건설중 신한울 3, 4호기 건설예정 |
경주(월성원자력본부) | 월성 2, 3, 4호기, 신월성 1, 2호기 | 5 | 월성 1호기 영구정지 |
울산(새울원자력본부) | 새울 3, 4호기 | 2 | 신고리 5, 6호기 건설중 |
부산(고리원자력본부) | 고리 2, 3, 4호기, 신고리 1, 2호기 | 5 | 고리 1호기 영구정지 |
영광(한빛원자력본부) | 한빛 1, 2, 3, 4, 5, 6호기 | 6 | |
합계 | 25 |
신한울 1호기 준공 기념행사(2022년 12월 14일)
가장 최근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는 대한민국의 27번째 원전인 신한울 1호기입니다. (2기는 영구정지, 25기 운영 중)
지난 12월 14일 준공 기념행사가 열렸으며, 2010년 착공 이후 12년 만에 본격적으로 가동되었습니다.
신한울 1호기는 우리나라의 독자 기술인 APR1400 노형으로써, 계측 제어설비와 같은 주요 자재의 핵심기술을 완전히 국산화한 최초의 원전이라는 의의가 있습니다.
현재 계획 중인 신한울 3, 4호기의 경우에도 2023년 1월부터 건설이 개시될 예정입니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 현황
현재 건설이 진행 중인 새울원자력본부의 신고리 5호기, 6호기는 정해진 준공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신고리 5호기는 2024년 3월, 신고리 6호기는 2025는 3월 각각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신고리 5호기의 경우 현재 이미 초기전원가압을 마친 상태로 이미 시운전 단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