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의 발이 되어주는 고마운 버스의 번호들은 아무 의미 없이 매겨져 있는 것이 아니라, 다 각자의 의미가 있습니다. 버스의 번호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한다면 버스노선도를 외우고 있지 않더라도 해당 버스의 대략적인 운행 경로를 예측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버스 번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서울시 버스 구역 번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서울시 버스 권역 구분도 (버스 구역 번호)
서울시 버스 권역은 아래 그림과 같이 0부터 7까지 총 8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0. 종로, 중구, 용산
1. 도봉, 강북, 성북, 노원 (의정부, 양주, 포천)
2. 동대문, 중랑, 성동, 광진 (구리, 남양주)
3. 강동, 송파 (하남, 광주)
4. 서초, 강남 (성남, 용인)
5. 동작, 관악, 금천 (안양, 과천, 의왕, 안산, 군포, 수원)
6. 강서, 양천, 영등포, 구로 (인천, 부천, 김포, 광명, 시흥)
7. 은평, 마포, 서대문 (파주, 고양)
■ 서울시 버스 색깔과 번호 지정 규칙
우리에게는 "꼬마버스 타요"로 익숙한 네가지 버스 색깔이 있는데, 바로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입니다. 각각의 색깔의 의미와 번호 부여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간선버스(파란색)
- 번호부여(3자리) 규칙 : 출발권역 + 도착권역 + 일련번호(0~9)
- 예시) 101 (1번 구역 출발 + 0번 구역 도착 + 1번째 노선)
2. 지선버스(초록색)
- 번호부여(4자리) 규칙 : 출발권역 + 도착권역 + 일련번호(11~99)
- 예시 : 1211 (1번 구역 출발 + 2번 구역 도착 + 11번째 노선)
3. 순환버스(노란색)
- 번호부여(2자리) 규칙 : 권역번호 + (1~9)
- 예시 : 01 (0번 구역 순환 + 1번째 노선)
4. 광역버스(빨간색)
- 번호부여(4자리) 규칙 : 9(광역번호) + 출발권역 + 일련번호(00~99)
- 예시 : 9101 (광역번호 9 + 1번 구역 출발 + 01번째 노선)
종별 | 첫째 자리 번호 | 둘째 자리 번호 | 셋째 자리 번호 | 넷째 자리 번호 |
간선버스 | 출발지역 번호 | 도착지역 번호 | 일련번호(1~) | (없음) |
지선버스 | 줄발지역 번호 | 도착지역 번호 | 일련번호(11~) | |
순환버스 | 운행 지역 | 일련번호(1~) | (없음) | |
광역버스 | 9 | 출발지역 번호 | 일련번호(00~) | |
맞춤버스 | 8 | 출발지역 번호 | 도착지역 번호 | 일련번호(0~) |
공항버스 | 6(0~7) | 일련번호(00~) | ||
심야버스 | N | 출발지역 번호 | 도착지역 번호 | (없음) |
(단, 일부 예외가 있는 버스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