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 정보

한국인도 잘 모르는 생소한 순우리말 모음

by 이글이글 2022. 4. 27.
반응형

최근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과 인터넷 신조어, 줄임말 사용 등으로 많은 한글 파괴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말에는 수많은 아름다운 고유어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 우리도 잘 모르고 지냈던 순우리말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 그 아름다움과 소중함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아름다운 순우리말

  • 꽃샘바람: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쌀쌀한 바람
  • 개밥바라기: 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
  • 꽃구름: 여러 가지 빛깔을 띤 아름다운 구름
  • 달무리: 달 언저리에 둥그렇게 생기는 구름 같은 허연 테
  • 돋을볕: 아침에 해가 솟아오를 때의 햇볕
  • 먼산주름: 주름을 잡은 듯이 보이는 멀리 있는 산들의 첩첩한 능선
  • 바람꽃: 큰 바람이 일어나려고 할 때 먼 산에 구름같이 끼는 뽀얀 기운
  • 윤슬: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 꽃숭어리: 많은 꽃송이가 달려 있는 덩어리
  • 미쁘다: 믿음성이 있다. 믿을 만한다. 확실하다. 진실되고 참되다
  • 구쁘다: 배 속이 허전하여 자꾸 먹고 싶다
  • 시망스럽다: 몹시 짓궂은 데가 있다.
  • 곰비임비: 물건이 거듭 쌓이거나 일이 계속 일어남

 

다양한 순우리말 감탄사들

  • 얄라차: '무엇인가 잘못되었음을 이상하게 여기거나 어떤 것을 신기하게 여길 때 내는 소리'를 나타냅니다.
  • 어뜨무러차: '어린 아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내는 소리'를 뜻합니다. 
  • 익힝: '무거운 짐을 들거나 아플 때 힘을 쓰면서 내는 소리'라는 의미 
  • 아카사니: '조금 무거운 물건을 반짝 들어 올릴 때 내는 소리' 또는 '애타게 찾던 것을 발견했을 때 가볍게 내는 소리'를 뜻하는 감탄사
  • 개치네쒜: '재채기를 한 뒤에 내는 소리'로 이 소리를 외치면 감기가 들어오지 못하고 물러간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 엿단쇠: '엿장수가 엿을 사라는 뜻에서 외치는 소리'를 말합니다. 
  • 허허이루후어: '옛날 과거 급제 증서를 받은 사람의 뒤를 따르는 별배들이 잇따라 높이 외치던 소리'를 뜻하는 감탄사입니다. (별배란 관서의 특정 관원에게 배속되어 관원의 집에서 부리던 사령입니다)
  • 무에리수에: '과거 돌팔이장님이 거리를 다니면서 자신에게 점을 치라고 할 때 외치는 소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