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스즈키컵 준결승전 2차전 경기 결과
12월 26일(일) 박항서 감독님의 베트남과 태국의 준결승 2차전이 펼쳐졌습니다. 준결승 1차전에서 0:2 패배를 뒤집기 위해서는 3골 차 승리가 필요했지만 끝내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결국 준결승 2차전에서 베트남은 0:0 무승부로 1, 2차전 합계 0:2로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습니다.
12월 25일(토)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의 준결승 2차전이 펼쳐졌습니다.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둔 두 팀은 2차전에서 진검승부를 펼쳤습니다. 다소 거칠게 경기가 펼쳐지면서 카드가 많이 나왔는데요, 다소 심판의 판정이 석연치 않은 부분들까지 겹치면서 싱가포르 선수들이 3명이나 퇴장당하는 보기 드문 모습이 나왔습니다. 11:8의 인원 차이에도 싱가포르 선수들이 연장전까지 분투하였으나 결국 체력이 다하면서 4:2로 인도네시아가 승리하였습니다. (1,2차전 합계 5:3으로 인도네시아가 결승에 안착하였습니다.)
□ 2020 스즈키컵 준결승전 1차전 경기 결과
12월 23일(목) 저녁, 베트남과 태국의 스즈키컵 준결승 1차전이 펼쳐졌습니다. 경기는 사실상의 결승전답게 매우 치열하였습니다. 태국은 탄탄한 실력으로 전반부터 베트남을 강하게 밀어붙였고, 그 결과 베트남은 전반에만 2골을 허용하며 결국 0:2로 패배했습니다. 후반전에는 다소 베트남의 조직력이 살아나는가 했으나 역시 결정력 부족으로 만회골을 넣는 것에는 실패하였습니다. 아직 2차전(12/26)이 남아 있다고는 하지만 2차전에서 베트남이 2골 차 이상으로 승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 경기가 될 전망입니다.
지난 12월 22일(수)에는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B조 1위)와 싱가포르(A조 2위) 간의 준결승 1차전이 열렸습니다. 경기 내내 1:0으로 앞서 나가던 인도네시아가 결국 싱가포르에 일격을 당해 무승부를 거두게 되면서 신태용 감독님에게는 다소 안타까운 결과였습니다. 아직까지는 인도네시아의 경기력이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였던 경기였습니다. 그러나 금번 대회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인도네시아이기 때문에 2차 전에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 2020 스즈키컵 준결승 대진표, 경기 일정 및 결과(코로나로 2021 개최 중)
[준결승 대진표]
- 태국 (A조 1위) vs 베트남 (B조 2위)
- 인도네시아 (B조 1위) vs 싱가포르 (A조 2위)
[경기 일정 및 결과]
대진 | 경기 일정 | 경기 결과 |
싱가포르 vs 인도네시아 (1차전) | 12/22(수) (20:30 현지시각) | 1 : 1 |
베트남 vs 태국 (1차전) | 12/23(목) (20:30 현지시각) | 0 : 2 |
인도네시아 vs 싱가포르 (2차전) | 12/25(토) (20:30 현지시각) | 4 : 2 |
태국 vs 베트남 (2차전) | 12/26(일) (20:30 현지시각) | 0 : 0 |
□ 2020 스즈키컵 조별리그 조편성표(B조 인도네시아, 베트남)
A조 | B조 |
태국 | 인도네시아 |
싱가포르 | 베트남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캄보디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 2020 스즈키컵 조별리그 순위(B조 1위 인도네시아, B조 2위 베트남)
조별리그 마지막 날인 12월 19일(일)에 펼쳐진 B조 경기에서 박항서 감독님의 베트남이 캄보디아에게(4:0 승리),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가 말레이시아에게(4:1 승리) 각각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로써 B조의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모두 승점은 10점으로 동일했지만 다득점에서 13점의 인도네시아가 10점의 베트남을 앞서 B조 1위 인도네시아, B조 2위 베트남으로 각각 준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B조 2위 베트남은 준결승전에서 숙적 태국(A조 1위)을 만나게 되어 다소 힘든 경기가 예상되며 사실상의 결승전이라고 할만합니다. 특히 태국의 경우에는 스즈키컵 최다 우승국이자 동남아시아 축구의 전통의 강호로써 금번 대회를 단단히 벼르고 있어 태국과 베트남 경기에서 불꽃 튀는 접전이 예상됩니다.
B조 1위의 인도네시아는 A조 2위 싱가포르와의 경기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번 대회 다크호스로써 돌풍을 어디까지 이어갈지 기대되고 있습니다.
※ 지난 12/5~12/19 동안 10개국이 2개 조로 나누어 펼친 조별리그에서 A조 1위 태국, A조 2위 싱가포르, B조 1위 인도네시아, B조 2위 베트남이 준결승에 진출하였습니다.
A조 [Group A] 경기 결과
팀 | 경기수 | 승/무/패 | 득점/실점/골득실 | 승점 |
태국 | 4 | 4/0/0 | 10/1/9 | 12 |
싱가포르 | 4 | 3/0/1 | 7/3/4 | 9 |
필리핀 | 4 | 2/0/2 | 12/6/6 | 6 |
미얀마 | 4 | 1/0/3 | 4/10/-6 | 3 |
동티모르 | 4 | 0/0/4 | 0/13/-13 | 0 |
B조 [Group B] 경기 결과
팀 | 경기수 | 승/무/패 | 득점/실점/골득실 | 승점 |
인도네시아 | 4 | 3/1/0 | 13/4/9 | 10 |
베트남 | 4 | 3/1/0 | 9/0/9 | 10 |
말레이시아 | 4 | 2/0/2 | 8/8/0 | 6 |
캄보디아 | 4 | 1/0/3 | 6/11/-5 | 3 |
라오스 | 4 | 0/0/4 | 1/14/-13 | 0 |
조별리그 B조에서 박항서 감독님의 베트남과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가 맞붙어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맞대결에서 초반부터 베트남이 강력하게 밀어붙였으나 인도네시아의 단단한 수비에 막혀 결국 두 팀 모두 득점 없이 0:0 무승부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베트남은 4:0으로 대승을 거두었으나, 인도네시아 역시 대승 4:1을 거두면서 두 팀 모두 승점이 10점으로 동일해져 다득점에서 앞선 인도네시아가 조 1위로 준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 2020 스즈키컵(2021년도 개최) 조별리그 경기 결과(스코어)
2021/12/19 (일요일)
[Group B] 베트남 vs 캄보디아 (4 : 0 베트남 승)
[Group B] 말레이시아 vs 인도네시아 (1 : 4 인도네시아 승리)
2021/12/18 (토요일)
[Group A] 미얀마 vs 필리핀 (2 : 3 필리핀 승리)
[Group A] 태국 vs 싱가포르 (2 : 0 태국 승리)
2021/12/15 (수요일)
[Group B] 캄보디아 vs 라오스 (3 : 0 캄보디아 승리)
[Group B] 인도네시아 vs 베트남 (0 : 0 무승부)
2021/12/14 (화요일)
[Group A] 필리핀 vs 태국 (1 : 2 태국 승리)
[Group A] 싱가포르 vs 동티모르 (2 : 0 싱가포르 승리)
2021/12/12 (일요일)
[Group B] 라오스 vs 인도네시아 (1 : 5 인도네시아 승리)
[Group B] 베트남 vs 말레이시아 (3 : 0 베트남 승리)
2021/12/11 (토요일)
[Group A] 동티모르 vs 필리핀 (0 : 7 필리핀 승리)
[Group A] 태국 vs 미얀마 (4 : 0 태국 승리)
2021/12/09 (목요일)
[Group B] 말레이시아 vs 라오스 (4 : 0 말레이시아 승리)
[Group B] 인도네시아 vs 캄보디아 (4 : 2 인도네시아 승리)
2021/12/08 (수요일)
[Group A] 미얀마 vs 동티모르 (2 : 0 미얀마 승리)
[Group A] 필리핀 vs 싱가포르 (1 : 2 싱가포르 승리)
2021/12/06 (월요일)
[Group B] 캄보디아 vs 말레이시아 (1 : 3 말레이시아 승리)
[Group B] 라오스 vs 베트남 (0 : 2 베트남 승리)
2021/12/05 (일요일)
[Group A] 동티모르 vs 태국 (0 : 2 태국 승리)
[Group A] 싱가포르 vs 미얀마 (3 : 0 싱가포르 승리)
□ 스즈키컵(SUZUKI CUP) 이란?
AFF 스즈키컵(SUZUKI)은 2년마다 개최되며 동남아시아의 월드컵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아세안 축구연맹(AFF)이 주최하고 FIFA가 인증하고 있습니다. 스즈키컵은 과거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싱가포르의 맥주 제조사인 타이거 맥주가 대회 스폰서를 맡아서 타이거컵(Tiger Cup)으로 불렸습니다. 그러나 2007년부터는 아세안 축구선수권대회(AFF Championship)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2008년부터는 일본 자동차 회사 스즈키가 스폰서십을 체결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던 대회였지만, 여기에 출전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열심히 임하는 경기입니다. 이후 2018년도 박항서 감독님이 인솔하는 베트남 축구팀이 2018 스즈키컵을 우승하면서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대회이며, 금년도에는 박항서 감독님의 베트남과 더불어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까지 출전하고 있어 더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스즈키컵에서 2008년, 2018년 역대 2회 우승하였습니다)
올해 스즈키컵을 디펜딩 챔피언 베트남이 다시 쟁취하느냐, 아니면 신태용 감독님의 인도네시아가 스즈키컵을 우승하느냐가 매우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도 저도 아니면 독기를 품은 태국이 스즈키 컵을 차지하게 될지 궁금하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