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의 동계 올림픽 참가 역사와 역대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의 개수, 그리고 동계 올림픽 대회별 자랑스러운 메달리스트들의 이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대한민국 동계 올림픽의 역사
대한민국의 동계 올림픽 역사는 1948년부터 시작됩니다.
1948년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한 대한민국은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에는 한국전쟁으로 참가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1956년 이탈리아 코르티나담체초 동계 올림픽에 다시 참가하였고 이후 현재까지 한 번도 빠짐없이 동계 올림픽에 참석해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아직 동계 올림픽 강국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최초로 메달을 획득한 이래 쇼트트랙 등 효자종목에서 꾸준하고 압도적인 성적으로 세계를 놀라게 했으며,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동계 스포츠 저변이 확대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목에서의 성적 또한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한 그동안 불모지와 같았던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에서 김연아라는 불세출의 월드 스타까지 탄생하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동계 스포츠의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된 대한민국은 이러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2018년도에는 직접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고 성공적으로 대회를 치렀습니다. (평창 동계 올림픽을 개최함으로써 하계/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8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 현황
대한민국이 처음 참가한 1948년 장크트모리츠 대회부터 총 10개 대회(1948,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동안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부단한 노력 끝에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사상 최초로 메달을 획득하였습니다.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김윤만이 스피드 스케이팅 1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이어 김기훈이 쇼트트랙 1000m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습니다. 김기훈은 이어 5000m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인 최초의 동계올림픽 2관왕이 되었습니다. (이후 김기훈은 1994년 릴리함메르에서도 1000m 금메달을 획득하며 3개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 보유자가 되었습니다.)
대회 | 참가 선수 | 금 | 은 | 동 | 순위 | 특기사항 |
1948 장크트모리츠 | 3 | 0 | 0 | 0 | - | 동계 올림픽 첫 출전 |
1952 오슬로 | 한국전쟁으로 불참 | |||||
1956 코르티나담체초 | 4 | 0 | 0 | 0 | - | |
1960 스궤밸리 | 7 | 0 | 0 | 0 | - | |
1964 인스부르크 | 7 | 0 | 0 | 0 | - | |
1968 그르노블 | 8 | 0 | 0 | 0 | - | |
1972 삿포로 | 5 | 0 | 0 | 0 | - | |
1976 인스부르크 | 3 | 0 | 0 | 0 | -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10 | 0 | 0 | 0 | - | |
1984 사라예보 | 15 | 0 | 0 | 0 | - | |
1988 캘거리 | 28 | 0 | 0 | 0 | - | |
1992 알베르빌 | 23 | 2 | 1 | 1 | 10 | 사상 최초 메달 획득 |
1994 릴리함메르 | 24 | 4 | 1 | 1 | 6 | |
1998 나가노 | 38 | 3 | 1 | 2 | 9 |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48 | 2 | 2 | 0 | 14 | |
2006 토리노 | 41 | 6 | 3 | 2 | 7 | |
2010 밴쿠버 | 46 | 6 | 6 | 2 | 5 | |
2014 소치 | 71 | 3 | 3 | 2 | 13 | |
2018 평창 | 122 | 5 | 8 | 4 | 7 | 개최국 |
□ 대한민국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대회 | 메달리스트 |
1992 알베르빌 | 김윤만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 은메달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 메달리스트) 김기훈 :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 금메달리스트) 이준호 : 쇼트트랙 1000m 동메달 김기훈, 이준호, 모지수, 송재근 : 쇼트트랙 남자 5000m 단체전 금메달 |
1994 릴리함메르 | 채지훈 : 쇼트트랙 남자 500m 금메달 김기훈 :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전이경 : 쇼트트랙 여자 1000m 금메달 전이경, 김소희, 김윤미, 원혜경 :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채지훈 : 쇼트트랙 남자 1000m 은메달 김소희 : 쇼트트랙 여자 1000m 동메달 |
1998 나가노 | 김동성 :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전이경 : 쇼트트랙 여자 1000m 금메달 전이경, 원혜경, 안상미, 김윤미 : 쇼트트랙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채지훈, 이준환, 이호응, 김동성 : 쇼트트랙 남자 5000m 단체전 은메달 전이경 : 쇼트트랙 여자 500m 동메달 원혜경 : 쇼트트랙 여자 1000m 동메달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고기현 : 쇼트트랙 여자 1500m 금메달 최민경, 주민진, 박혜원, 최은경 : 쇼트트랙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고기현 : 쇼트트랙 여자 1000m 은메달 최은경 : 쇼트트랙 여자 1500m 은메달 |
2006 토리노 | 안현수 :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안현수 : 쇼트트랙 남자 1500m 금메달 안현수, 이호석, 오세종, 서호진, 송석우 : 쇼트트랙 남자 5000m 단체전 금메달 진선유 : 쇼트트랙 여자 1000m 금메달 변천사, 최은경, 전다혜, 진선유, 강윤미 : 쇼트트랙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이호석 : 쇼트트랙 남자 1000m 은메달 이호석 : 쇼트트랙 남자 1500m 은메달 최은경 : 쇼트트랙 여자 1500m 은메달 안현수 : 쇼트트랙 남자 500m 동메달 이강석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동메달 |
2010 밴쿠버 | 이정수 : 쇼트트랙 남자 1500m 금메달 모태범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금메달 이상화 :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금메달 이정수 :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이승훈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0m 금메달 김연아 :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금메달 이승훈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0m 은메달 모태범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 은메달 이은별 : 쇼트트랙 여자 1500m 은메달 이호석 : 쇼트트랙 남자 1000m 은메달 성시백 : 쇼트트랙 남자 500m 은메달 이호석, 성시백, 이정수, 곽윤기, 김성일 : 쇼트트랙 남자 5000m 단체전 은메달 박승희 : 쇼트트랙 여자 1500m 동메달 박승희 : 쇼트트랙 여자 1000m 동메달 |
2014 소치 | 이상화 :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금메달 심석희, 박승희, 조해리, 김아랑, 공상정 : 쇼트트랙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박승희 : 쇼트트랙 여자 1000m 금메달 심석희 : 쇼트트랙 여자 1500m 은메달 김연아 :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은메달 이승훈, 주형준, 김철민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 은메달 박승희 : 쇼트트랙 여자 500m 동메달 심석희 : 쇼트트랙 여자 1000m 동메달 |
2018 평창 | 임효준 : 쇼트트랙 남자 1500m 금메달 윤성빈 : 스켈레톤 남자 개인 금메달 최민정 : 쇼트트랙 여자 1500m 금메달 김아랑, 김예진, 심석희, 이유빈, 최민정 : 쇼트트랙 여자 3000m 단체전 금메달 이승훈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매스스타트 금메달 이상화 :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은메달 차민규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은메달 김민석, 이승훈, 정재원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 은메달 황대헌 : 쇼트트랙 남자 500m 은메달 이상호 :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은메달 김보름 :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매스스타트 은메달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은정, 김초희 : 컬링 여자 은메달 김동현, 서영우, 원윤종, 전정린 : 봅슬레이 남자 4인승 은메달 김민석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500m 동메달 서이라 : 쇼트트랙 남자 1000m 동메달 임효준 : 쇼트트랙 남자 500m 동메달 김태윤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 동메달 |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와 우승국, 참가국가, 메달 순위 등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와 우승국, 참가국가, 메달 순위 등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리에 마무리되었던 게 엊그제 같이 아직도 그때의 감동이 떠오릅니다. 이후 갑자기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 사태로 어떻게 사는지도 모르게 지나다 보니 어느새 2022
meltingpo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