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지구 저궤도(600~800km)에 1.5톤급 실용위성을 발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10년 3월부터 누리호를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주강국의 꿈을 싣고 11년 7개월간의 피땀 어린 노력으로 드디어 2021년 10월 21일 17시 누리호(KSLV-Ⅱ)가 날아올랐습니다. 이번 발사체 실험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자체 기술력으로 중대형 우주발사체를 개발한 7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자랑스럽게 웅비하는 대한민국의 모습에 가슴이 벅찰 지경입니다.
■ 누리호(Rocket Nuri)의 구조와 제원
누리호(Rocket Nuri)는 3단 로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높이: 47.2m
- 직경: 3.5m
- 로켓 총 중량: 200톤
- 1단 로켓 추력: 300톤
- 수송능력: 1.5톤급 실용위성을 저궤도(600~800km) 투입 가능하도록 설계
1단 로켓 (1st Stage)
- 누리호 1단은 75톤 엔진 4기와 액체산소 및 케로신(Kerosene, 등유) 탱크 등으로 구성.
- 75톤 엔진 4기를 하나의 300톤급 엔진처럼 움직이도록 하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적용.
2단 로켓 (2nd Stage)
- 누리호 2단은 75톤 엔진 1기와 액체산소 및 케로신 탱크 등으로 구성.
3단 로켓 (3rd Stage)
- 누리호 3단은 7톤 엔진 1기와 액체산소 및 케로신 탱크 등으로 구성.
■ 누리호 비행 절차
누리호는 크게 5단계로 비행 절차가 이루어져 있다.
- 이륙
- 1단 분리
- 페어링 분리
- 2단 분리
- 위성 모사체 분리 (시간 약 16분, 고도 700 km)
누리호의 상세한 비행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 이륙 후 127초 후 고도 59km에서 1단 분리가 이루어진다.
- 시간이 233초가 흐르면 고도 191km에서 위성(이번에는 모사체)을 보호하는 페어링이 분리된다.
- 274초가 경과되는 시점에 고도 258km에서 2단 분리가 이루어진다.
- 967초 경과 시점에 고도 700km 에서 위성 모사체를 분리한다.
최종적으로 위성 모사체가 원하는 궤도에 안착했으면 100% 완벽한 성공이었으나, 위성 모사체는 궤도에 안착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모든 단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고, 최초 발사로 인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므로 내년 5월 2차 발사 때까지 충분한 개선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다음 2차 발사 때는 1.3t 위성 모사체와 0.2t 성능 검증 위성을 함께 탑재할 예정이다. 앞으로의 대한민국 우주시대를 열어가는 첫걸음으로써 가슴 벅차고 기대되는 순간이다.
댓글